2013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조회 수 18962 2013.09.12 15:32:16
2013년 9월 11일 (수)에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발표 내용을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Nsoll 전문가들의 똑소리나는 서비스 보안 공지는 월 단위로 발표되어 보안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 발견된 취약점에 대하여 13개(긴급4, 중요9)의 보안 공지와 1개의 개정된 보안 권고를 발표합니다.

신규 보안 공지
공지 번호제목심각도영향재시작영향을 받는 제품파일정보알려진
문제점
MS13-067Microsoft SharePoint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834052)긴급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SharePoint Portal Server 2003
SharePoint Server 2007
SharePoint Server 2010
SharePoint Server 2013
Office Web Apps 2010
28340522834052
MS13-068Microsoft Outlook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756473)긴급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Outlook 2007
Outlook 2010
2756473없음
MS13-069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2870699) 긴급원격코드실행 필요함 지원하는 모든 Windows 버전의
 Internet Explorer 6
 Internet Explorer 7
 Internet Explorer 8
 Internet Explorer 9
 Internet Explorer 10
2870699없음
MS13-070OL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876217)긴급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Ole32.dll
Wole32.dll
없음
MS13-071Windows 테마 파일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864063)중요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8
Themeui.dll
Wthemeui.dll
없음
MS13-072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845537) 중요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Office 2003
Office 2007
Office 2010
Word 2003
Word 2007
Word 2010
Office 호환 기능 팩
Word Viewer
28455372845537
MS13-073Microsoft Excel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858300)중요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Excel 2003
Excel 2007
Excel 2010
Excel 2013
Excel 2013 RT
Office for Mac 2011
Excel Viewer
Office 호환 기능 팩
28583002858300
MS13-074Microsoft Acces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848637)중요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Access 2007
Access 2010
Access 2013
2848637없음
MS13-075Microsoft Office IME(중국어)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2878687)중요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Office 2010 서비스 팩1
Microsoft Pinyin IME 2010
2878687없음
MS13-076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876315) 중요권한상승필요함Windows XP
Windows Server 2003
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8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R2
Windows 8
Windows Server 2012
Windows RT
Server Core 설치
Win32k.sys없음
MS13-077Windows 서비스 제어 관리자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2872339) 중요권한상승필요함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R2
2872339 없음
MS13-078FrontPage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점(2825621)중요정보유출필요할수있음FrontPage 20032825621 없음
MS13-079Active Directory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2853587)중요서비스거부필요할수있음Windows Vista
Windows Server 2008
Windows 7
Windows Server 2008 R2
Windows 8
Windows Server 2012
Ntdsatq.dll없음

위에 나열한 영향을 받는 제품 목록은 간단히 요약한 것입니다.
영향을 받는 구성 요소 전체 목록을 보려면 각 보안 공지를 열고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부분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신규 보안 공지 요약 웹 페이지
신규 보안 공지에 대한 요약은 다음 페이지에 있습니다.

2013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요약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sep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의 업데이트된 버전을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WSUS), Windows Update (WU)와 다운로드 센터에서 제공합니다. 이 도구는 Software Update Services (SUS)를 통해서는 배포되지 않음을 주의하여 주십시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에 대한 정보는 http://support.microsoft.com/kb/890830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보안 문제와 관계없지만 중요도가 높은 업데이트
마이크로소프트는 Microsoft Update (MU), Windows Update (WU),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WSUS)를 통해 보안 문제와 관계없지만 중요도가 높은 업데이트를 발표합니다.
오늘 발표한 전체 업데이트의 목록은 다음 기술 자료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13년에 변경된 Software Update services 및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내용에 대한 설명

http://support.microsoft.com/?id=894199



개정된 보안 권고

마이크로소프트는 2013년 9월 11일(한국시각)에 보안 권고 2755801 내용을 개정합니다. 개정된 내용을 아래와 같이 간단히 요약합니다.

보안 권고 2755801
Internet Explorer에 포함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위한 업데이트

개정된 부분:
- 2013년 9월 11일, Microsoft에서 지원 대상인 모든 Windows 8, Windows Server 2012 및 Windows RT 에디션의 Internet Explorer 10에 대한 업데이트(2880289)를 릴리스 했습니다.
- 이 업데이트는 Adobe 보안 공지 APSB13-21에 설명된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다운로드 링크를 포함하여 이 업데이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 문서 2880289를 참조하십시오.
- 참고: Windows RT에 대한 업데이트는 Windows Update에서만 제공됩니다.
- 이 업데이트는 Windows 8.1, Windows RT 8.1 및 Windows Server 2012 R2 릴리스에 설치된 Internet Explorer 11 뿐만 아니라, Windows 8.1 Preview 및 Windows RT 8.1 Preview 릴리스에 설치된 Internet Explorer 11 Preview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업데이트는 Windows Update를 통해 제공됩니다.

상세 정보: http://technet.microsoft.com/security/advisory/2755801


보안 공지 웹 캐스트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공지에 대한 고객 질문에 답하는 웹 캐스트를 진행합니다.
제목: Information About September 2013 Security Bulletin Release(Level 200)
일시: 2013년 9월 12일 (목) 오전 4시 (한국 시각)
URL: https://msevents.microsoft.com/CUI/EventDetail.aspx?EventID=1032557378&culture=en-US
(!주의: 모든 나라에서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질의 응답이기 때문에 영어로 진행됩니다.)


보안 공지 기술 세부 사항


아래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표에서, 나열되지 않은 소프트웨어는 지원 기간이 지난 제품입니다. 제품과 버전에 대한 지원 기간을 보려면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기간 페이지 http://support.microsoft.com/lifecycle/ 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보안 공지 번호MS13-067
제목Microsoft SharePoint Server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834052)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Microsoft Office Server 소프트웨어의 공개된 취약점 1건과 비공개로 보고된 취약점 9건을 해결합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으로 인해 공격자가 영향을 받는 서버로 특수하게 조작된 콘텐츠를 보내는 경우 W3WP 서비스 계정의 컨텍스트에서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최대 심각도긴급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SharePoint 서비스 거부 취약점(CVE-2013-0081)
- MAC 비활성화 취약점(CVE-2013-1330)
- SharePoint XSS 취약점(CVE-2013-3179)
- POST XSS 취약점(CVE-2013-3180)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SharePoint Portal Server 2003
- SharePoint Server 2007
- SharePoint Server 2010
- SharePoint Server 2013
- Office Web Apps 2010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SharePoint Server 2013의 Office Services
- SharePoint Server 2013의 Microsoft Web Apps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MS12-066, MS13-035
파일 정보2834052
알려진 문제점2834052
상세 정보http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67

보안 공지 번호MS13-068
제목Microsoft Outlook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756473)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Outlook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영향을 받는 Microsoft Outlook 에디션에서 특수하게 조작된 전자 메일 메시지를 열거나 미리 볼 때 원격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로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긴급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메시지 인증서 취약점(CVE-2013-3870)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Outlook 2007
- Outlook 2010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Outlook 2003
- Outlook 2013
- Outlook 2013 RT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0-064
파일 정보2756473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68

보안 공지 번호MS13-069
제목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 (2870699)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Internet Explorer에서 발견되어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취약점 10건을 해결합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볼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긴급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1)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2)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3)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4)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5)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6)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7)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8)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209)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45)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Internet Explorer 6
- Internet Explorer 7
- Internet Explorer 8
- Internet Explorer 9
- Internet Explorer 10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Internet Explorer 11
- Server Core 설치
시스템 재시작필요함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59
파일 정보2870699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69

보안 공지 번호MS13-070
제목OL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876217)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Windows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OLE 개체를 포함하는 파일을 열 경우 원격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긴급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OLE 속성 취약점(CVE-2013-3863)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 Windows 8.1
- Windows Server 2012 R2
- Windows RT 8.1
- Server Core 설치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1-093
파일 정보 Ole32.dll, Wole32.dll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0

보안 공지 번호MS13-071
제목Windows 테마 파일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864063)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Windows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시스템에 특수하게 조작된 테마를 적용하면 원격 코드가 실행될 수 있습니다. 공격에 성공하려면 사용자가 파일을 열거나 테마를 적용하도록 유도해야 하며, 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강제로 실행되지 않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Windows 테마 파일 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CVE-2013-0810)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 Windows 8.1
- Windows Server 2012 RT
- Windows RT 8.1
- Server Core 설치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없음
파일 정보Themeui.dll, Wthemeui.dll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1

보안 공지 번호MS13-072
제목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845537)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Microsoft Office에서 발견되어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취약점 13건을 해결합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Microsoft Office 소프트웨어 버전에서 특수하게 조작된 파일을 열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XML 외부 엔터티 확인 취약점(CVE-2013-3160)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47)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48)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49)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0)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1)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2)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3)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4)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5)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6)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7)
- Word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858)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Office 2003
- Office 2007
- Office 2010
- Word 2003
- Word 2007
- Word 2010
- Office 호환 기능 팩
- Word Viewer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Office for Mac 2011
- Office 2013
- Office 2013 RT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51, MS13-043, MS12-057, MS12-079, MS11-089
파일 정보2845537
알려진 문제점2845537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2

보안 공지 번호MS13-073
제목Microsoft Excel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858300)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Microsoft Office에서 발견되어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취약점 3건을 해결합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영향을 받는 Microsoft Excel 버전 또는 영향을 받는 기타 Microsoft Office 소프트웨어에서 특수하게 조작된 Office 파일을 열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Microsoft Office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1315)
- Microsoft Office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58)
- XML 외부 엔터티 확인 취약점(CVE-2013-3159)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Excel 2003
- Excel 2007
- Excel 2010
- Excel 2013
- Excel 2013 RT
- Office for Mac 2011
- Excel Viewer
- Office 호환기능팩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없음. 지원 대상인 모든 Excel 버전에 영향을 받음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2-076, MS13-051
파일 정보2858300
알려진 문제점2858300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3

보안 공지 번호MS13-074
제목Microsoft Access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848637)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Microsoft Office에서 발견되어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취약점 3건을 해결합니다.
이러한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영향을 받는 Microsoft Access 버전으로 특수하게 조작된 Access 파일을 열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Access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55)
- Access 파일 형식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56)
- Access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57)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Access 2007
- Access 2010
- Access 2013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Access 2003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2-046
파일 정보2848637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4

보안 공지 번호MS13-075
제목Microsoft Office IME(중국어)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878687)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Office IME(중국어)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로그온 한 공격자가 Microsoft Pinyin IME(중국어 간체)의 도구 모음에서 Internet Explorer를 실행한 경우 권한이 상승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커널 모드에서 임의 코드를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공격자가 프로그램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를 보거나 변경하거나 삭제할 수 있고 전체 관리자 권한이 있는 새 계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Microsoft Pinyin IME 2010 구현만 이 취약점의 영향을 받습니다. 다른 버전의 중국어 간체 IME 및 기타 IME 구현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권한 상승
취약점 정보- 중국어 IME 취약점(CVE-2013-3859)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Office 2010 서비스 팩1
- Microsoft Pinyin IME 2010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Office 2007
- Office 2010 서비스 팩2
- Office 2013
- Office 2013 RT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없음
파일 정보2878687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5

보안 공지 번호MS13-076
제목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876315)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Microsoft Windows에서 발견되어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취약점 7건을 해결합니다.
공격자가 시스템에 로그온하고 특수하게 조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경우 이 취약점으로 인해 권한 상승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을 악용하려면 공격자가 유효한 로그온 자격 증명을 가지고 로컬로 로그온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권한 상승
취약점 정보- Win32k 다중 페치 취약점(CVE-2013-1341)
- Win32k 다중 페치 취약점(CVE-2013-1342)
- Win32k 다중 페치 취약점(CVE-2013-1343)
- Win32k 다중 페치 취약점(CVE-2013-1344)
- Win32k 다중 페치 취약점(CVE-2013-3864)
- Win32k 다중 페치 취약점(CVE-2013-3865)
- Win32k 권한 상승 취약점(CVE-2013-3866)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 Server Core 설치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8.1
- Windows Server 2012 R2
- Windows RT 8.1
- Windows Server R2(Server Core 설치)
시스템 재시작필요함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53
파일 정보Win32k.sys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6

보안 공지 번호MS13-077
제목Windows 서비스 제어 관리자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872339)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Windows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은 인증된 공격자가 사용자를 특수하게 조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유도하여 권한이 상승되게 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을 악용하려면 공격자가 유효한 로그온 자격 증명을 갖고 있고 로컬로 로그온 할 수 있거나,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해야 합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권한 상승
취약점 정보- 서비스 제어 관리자 Double Free 취약점(CVE-2013-3862)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 Windows 8.1
- Windows Server 2012 R2
- Windows RT 8.1
- Server Core 설치
시스템 재시작필요함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19, MS13-063
파일 정보2872339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7

보안 공지 번호MS13-078
제목FrontPage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점 (2825621)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FrontPage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FrontPage 문서를 열 경우 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은 자동으로 악용될 수 없기 때문에 공격이 성공하려면 공격자는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문서를 열도록 유도해야 합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정보 유출
취약점 정보- XML 유출 취약점(CVE-2013-3137)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FrontPage 2003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SharePoint Designer 2007
- SharePoint Designer 2010
- SharePoint Designer 2013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없음
파일 정보2825621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8

보안 공지 번호MS13-079
제목Active Directory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853587)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Active Directory에서 발견되어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취약점 1건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쿼리를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서비스에 보낼 경우 서비스 거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서비스 거부
취약점 정보- 원격 익명 DoS 취약점(CVE-2013-3868)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RT
- Windows 8.1
- Windows Server 2012 R2
- Windows RT 8.1
시스템 재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없음
파일 정보Ntdsatq.dll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79


정보의 일관성

본 메일과 웹 페이지를 통하여 가급적 정확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웹에 게시된 보안 공지는 최신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수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메일의 정보와 웹 기반의 보안 공지 간에 내용이 불 일치하는 일이 생긴다면, 웹에 게시된 보안 공지의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기술 지원은 지역번호 없이 전화 1577-9700을 통해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고객지원센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보안 업데이트와 관련된 기술 지원 통화는 무료입니다.

감사합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고객지원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9 한컴오피스 4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주)엔솔시스템즈 2016-04-15
28 Samba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주)엔솔시스템즈 2016-04-15
27 MS 4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주)엔솔시스템즈 2016-04-15
26 2015년 10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10-22
25 2015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9-11
24 2015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8-15
23 2015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7-17
22 2015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6-15
21 Windows 2008 R2, 2012 자동 reboot, 블루스크린 발생 현상 (주)엔솔시스템즈 2015-06-11
20 2015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5-17
19 2015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3-13
18 CVE-2015-0235 Ghost 취약점 (주)엔솔시스템즈 2015-01-29
17 OpenSSL Security Advisory - POODLE (주)엔솔시스템즈 2014-10-16
16 2014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9-11
15 2014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8-19
14 2014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7-14
13 2014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6-13
12 2014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5-16
11 2014년 4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4-12
10 2014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3-14
9 2014년 2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2-13
8 2014년 1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1-16
7 2013년 12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12-12
6 2013년 11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11-14
5 2013년 10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10-10
» 2013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9-12
3 2013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8-16
2 2013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7-11
1 2013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6-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