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조회 수 8515 2013.06.12 14:42:51
2013년 6월 12일 (수)에 발표된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발표 내용을 요약하여 제공합니다.
Nsoll 전문가들의 똑소리나는 서비스 보안 공지는 월 단위로 발표되어 보안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새로 발견된 취약점에 대하여 5개(긴급1, 중요4)의 보안 공지와 1개의 보안 권고를 발표합니다.

신규 보안 공지
공지 번호제목심각도영향재시작영향을 받는 제품파일정보알려진
문제점
 MS13-047 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2838727)긴급원격코드실행필요함- Internet Explorer 6
- Internet Explorer 7
- Internet Explorer 8
- Internet Explorer 9
- Internet Explorer 10
KB2838727KB2838727
MS13-048Windows 커널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점(2839229)긴급정보유출필요함-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8
KB2839229없음
MS13-049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2845690)중요서비스거부필요함-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Tcpipreg.sys
Tcpip.sys
KB2845690
MS13-050Windows 인쇄 스풀러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2845690)중요권한상승필요함-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KB2839894KB2839894
MS13-051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2839571)중요원격코드실행필요할수있음- Office 2003
- Office for Mac 2011
KB2839571KB2839571

위에 나열한 영향을 받는 제품 목록은 간단히 요약한 것입니다.
영향을 받는 구성 요소 전체 목록을 보려면 각 보안 공지를 열고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부분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신규 보안 공지 요약 웹 페이지
신규 보안 공지에 대한 요약은 다음 페이지에 있습니다.

2013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요약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jun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의 업데이트된 버전을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WSUS), Windows Update (WU)와 다운로드 센터에서 제공합니다. 이 도구는 Software Update Services (SUS)를 통해서는 배포되지 않음을 주의하여 주십시오.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악성 소프트웨어 제거 도구에 대한 정보는 http://support.microsoft.com/kb/890830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보안 문제와 관계없지만 중요도가 높은 업데이트
마이크로소프트는 Microsoft Update (MU), Windows Update (WU),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WSUS)를 통해 보안 문제와 관계없지만 중요도가 높은 업데이트를 발표합니다.
오늘 발표한 전체 업데이트의 목록은 다음 기술 자료에서 볼 수 있습니다.

2013년에 변경된 Software Update services 및 Windows Server Update services 내용에 대한 설명
http://support.microsoft.com/?id=894199
 

신규 보안 권고

마이크로소프트는 2016년 6월 12일(한국시각)에 1개의 보안 권고를 발표합니다. 발표된 보안 권고의 내용을 아래와 같이 간단히 요약합니다.

보안 권고 2854544 - Windows에서의 암호화 및 디지털 인증서 처리 방법 개선을 위한 업데이트

약:  Microsoft에서는 Windows에서의 암호학 및 디지털 인증서 처리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일환으로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앞으로 몇 개월 동안 Microsoft에서는 권고를 통해 추가 업데이트를 지속적으로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는 위협 환경의 진화에 따른 대응 방안으로서 Windows 암호화 및 인증서 처리 인프라를 강화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합니다.

권장 사항: 이 현재 업데이트를 가능한 빨리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권고의 현재 업데이트 항목을 참조하십시오.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상세 정보: http://technet.microsoft.com/security/advisory/2854544


개정된 보안 권고

마이크로소프트는 2013년 6월 12일(한국시각)에 보안 권고 2755801 내용을 개정합니다.  개정된 내용을 아래와 같이 간단히 요약합니다.

보안 권고 2755801 Internet Explorer 10에 포함된 Adobe Flash Player의 취약점을 위한 업데이트

요약:
 - 2013년 6월 12일(한국시각)에 Microsoft는 지원 대상인 모든 Windows 8, Windows Server 2012, Windows RT 에디션에 대한 업데이트(KB2847928)를 발표했습니다.
 - 이 업데이트는 Adobe 보안 공지 APSB13-16에 설명된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 다운로드 링크를 포함하여 이 업데이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Microsoft 기술 자료 문서 2847928을 참조하십시오.
 - Windows RT에 대한 업데이트는 Windows Update에서만 제공됩니다.

 상세 정보: 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advisory/2755801


보안 공지 웹 캐스트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공지에 대한 고객 질문에 답하는 웹 캐스트를 진행합니다.
제목: Information About June 2013 Security Bulletin Release(Level 200)
일시: 2013년 6월 13일 (목) 오전 4시 (한국 시각)
URL: https://msevents.microsoft.com/CUI/EventDetail.aspx?culture=en-US&EventID=1032538733
(!주의: 모든 나라에서 동시에 참여할 수 있는 질의 응답이기 때문에 영어로 진행됩니다.)



보안 공지 기술 세부 사항


아래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표에서, 나열되지 않은 소프트웨어는 지원 기간이 지난 제품입니다. 제품과 버전에 대한 지원 기간을 보려면 마이크로소프트 지원 기간 페이지 http://support.microsoft.com/lifecycle/ 를 참고하여 주십시오.

보안 공지 번호MS13-047
제목Internet Explorer 누적 보안 업데이트(2838727)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Internet Explorer에서 발견되어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취약점 19건을 해결합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Internet Explorer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웹 페이지를 볼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가장 위험한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긴급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0)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1)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2)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3)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4)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6)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7)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8)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19)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20)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21)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22)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23)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24)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25)
- Internet Explorer 스크립트 디버그 취약점(CVE-2013-3126)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39)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41)
- Internet Explorer 메모리 손상 취약점(CVE-2013-3142)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Internet Explorer 6
- Internet Explorer 7
- Internet Explorer 8
- Internet Explorer 9
- Internet Explorer 10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Server Core 설치
시스템 시작필요함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37의 2829530
MS13-038의 2847204
파일 정보KB2838727
알려진 문제점KB2838727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47

보안 공지 번호MS13-048
제목Windows 커널의 취약점으로 인한 정보 유출 문제점 (2839229)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Windows의 취약점 1건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공격자가 시스템에 로그온하고 특수하게 조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로그인한 로컬 사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유도할 경우 정보 유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을 악용하려면 공격자가 유효한 로그온 자격 증명을 가지고 로컬로 로그온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공격자가 직접 코드를 실행하거나 해당 사용자 권한을 상승시킬 수는 없지만 영향을 받는 시스템의 손상을 악화시키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최대 심각도보통
취약점 영향정보 유출
취약점 정보- 커널 정보 유출 취약점(CVE-2013-3136)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8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Professional 64bit
- Windows Server 2003 64bit
- Windows Vista 64bit
- Windows Server 2008 64bit
- Windows 7 64bit
- Windows Server 2008 R2 64bit
- Windows 8 64bit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시스템 시작필요함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31의 2813170
MS13-046의 2829361
파일 정보KB2839229
알려진 문제점 없음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48

보안 공지 번호MS13-049
제목커널 모드 드라이버의 취약점으로 인한 서비스 거부 문제점 (2845690)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Windows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인증되지 않은 공격자가 특수하게 조작된 연결 종료 패킷을 서버에 보낼 경우 서비스 거부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서비스 거부
취약점 정보- TCP/IP 정수 오버플로 취약점(CVE-2013-3138)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2012
- Windows RT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시스템 시작필요함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18의 2790655
파일 정보Tcpipreg.sys
Tcpip.sys
알려진 문제점KB2848690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49

보안 공지 번호MS13-050
제목Windows 인쇄 스풀러 구성 요소의 취약점으로 인한 권한 상승 문제점 (2839894)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Windows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이 취약점으로 인해 인증된 공격자가 프린터 연결을 삭제할 경우 권한 상승이 허용될 수 있습니다. 이 취약점을 악용하려면 공격자가 유효한 로그온 자격 증명을 가지고 로그온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권한 상승
취약점 정보- 인쇄 스풀러 취약점(CVE-2013-1339)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Windows Vista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7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8
- Windows Server 2012
- Windows RT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Windows XP
- Windows Server 2003
시스템 시작필요함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3-001의 2769369
파일 정보KB2839894
알려진 문제점KB2839894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50

보안 공지 번호MS13-051
제목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으로 인한 원격 코드 실행 문제점 (2839571)
요약이 보안 업데이트는 비공개적으로 보고된 Microsoft Office의 취약점을 해결합니다.
취약점으로 인해 사용자가 영향을 받는 버전의 Microsoft Offic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특수하게 조작된 Office 파일을 열거나, 전자 메일 리더로 Microsoft Word를 사용하면서 특수하게 조작된 전자 메일 메시지를 Outlook에서 미리 보거나 열 경우 원격 코드 실행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취약점 악용에 성공한 공격자는 현재 사용자와 동일한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 권한이 적게 구성된 계정의 사용자는 관리자 권한으로 작업하는 사용자에 비해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최대 심각도중요
취약점 영향원격 코드 실행
취약점 정보- Office 버퍼 오버플로 취약점(CVE-2013-1331)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 Office 2003
- Office for Mac 2011
(아래 링크에서 영향을 받는 소프트웨어와 다운로드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영향을 받지 않는 소프트웨어 - Office 2007
- Office 2010
- Office 2013
- Office 호환 기능 팩
- Excel Viewer
- PowerPoint Viewer
시스템 시작필요할 수 있음
이번 업데이트로
대체되는 보안 공지
MS11-073의 2584052
MS13-026의 2817452
파일 정보KB2839571
알려진 문제점KB2839571
상세 정보http://technet.microsoft.com/ko-kr/security/bulletin/ms13-051


정보의 일관성

본 메일과 웹 페이지를 통하여 가급적 정확한 내용을 제공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웹에 게시된 보안 공지는 최신의 정보를 반영하기 위해 수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본 메일의 정보와 웹 기반의 보안 공지 간에 내용이 불 일치하는 일이 생긴다면, 웹에 게시된 보안 공지의 정보가 더 신뢰할 수 있는 정보입니다.
기술 지원은 지역번호 없이 전화 1577-9700을 통해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고객지원센터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보안 업데이트와 관련된 기술 지원 통화는 무료입니다.

감사합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 고객지원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이름 날짜
29 한컴오피스 4월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주)엔솔시스템즈 2016-04-15
28 Samba 취약점 보안 업데이트 권고 (주)엔솔시스템즈 2016-04-15
27 MS 4월 보안 위협에 따른 정기 보안 업데이트 권고 (주)엔솔시스템즈 2016-04-15
26 2015년 10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10-22
25 2015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9-11
24 2015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8-15
23 2015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7-17
22 2015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6-15
21 Windows 2008 R2, 2012 자동 reboot, 블루스크린 발생 현상 (주)엔솔시스템즈 2015-06-11
20 2015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5-17
19 2015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5-03-13
18 CVE-2015-0235 Ghost 취약점 (주)엔솔시스템즈 2015-01-29
17 OpenSSL Security Advisory - POODLE (주)엔솔시스템즈 2014-10-16
16 2014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9-11
15 2014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8-19
14 2014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7-14
13 2014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6-13
12 2014년 5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5-16
11 2014년 4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4-12
10 2014년 3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3-14
9 2014년 2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2-13
8 2014년 1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4-01-16
7 2013년 12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12-12
6 2013년 11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11-14
5 2013년 10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10-10
4 2013년 9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9-12
3 2013년 8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8-16
2 2013년 7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7-11
» 2013년 6월 마이크로소프트 보안 공지 (주)엔솔시스템즈 2013-06-12